최근 "너무 쉬워서 일해도 되나 싶었어요"라는 제목의 영상이 큰 화제를 모으며,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이 영상은 동남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인 쇼피(Shopee)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한 20대 셀러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.
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쇼피라는 플랫폼을 이 영상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었고, 그로 인해 쇼피 셀러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급증했습니다.
저 역시 이 영상을 보고 쇼피 셀러로서의 도전을 시작한 사람 중 하나입니다.
저는 전염병으로 인해 기존에 하던 일을 정리하고 새로운 일을 찾던 중, 비대면 시대에 적합한 일이라는 생각에 쇼피 셀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
벌써 8개월이 지났습니다.
처음 시작할 때 병원 없이 무작정 도전을 했기 때문에 주변에서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.
하지만 쇼피가 무엇인지, 과연 할 만한 일인지,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.
쇼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영상을 찾아봤지만, 대부분 가정주부, 대학생, 직장인의 부업으로 쇼피를 다루거나 하루 2-3시간씩 단순히 상품만 리스팅해본 후 쇼피로 돈 버는 것은 어렵다고 단정하는 영상들이 많았습니다.
전업 셀러로서의 경험을 다룬 영상은 거의 없었습니다.
그래서 저는 8개월간 하루 9시간씩 쇼피 셀러로 일하면서 얻은 월 매출과 비용을 솔직하게 공개하여, 쇼피가 전업으로 할 만한 일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.
우선, 가장 궁금해하실 저의 매출을 공개하겠습니다.
쇼피는 최근 브라질까지 총 8개국의 샵을 오픈할 수 있는데, 현재 저는 모든 샵을 오픈했습니다.
매출은 주로 인도네시아, 필리핀,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.
5월달 매출을 공개하자면, 인도네시아는 약 1억 9천 루피아로 원화로 환산하면 약 1481만원입니다.
필리핀,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에서 총 2420만원의 매출을 발생시켰습니다.
여기서 상품 원가와 해외 배송비, 수수료를 빼면 정산 수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이를 취합하여 계산해보면, 인도네시아에서 335만원, 필리핀에서 136만원, 말레이시아에서 41만원, 싱가포르에서 30만원으로 총 540만원의 정산 수익이 발생했습니다.
운영 비용도 계산해보겠습니다.
저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사무실을 임대했습니다.
약 7평 정도의 사무실로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45만원, 관리비 20만원, 인터넷 이용료 1만 5천원을 포함하여 매달 66만 5천원을 지출하고 있습니다.
또한 포장비와 고객 사은품, 쇼피 지파지까지의 배송 비용 등으로 총 41만원을 지출하고 있습니다.
마지막으로 법인 설립으로 인해 세무사 비용 16만원을 지출하고 있습니다.
모든 비용을 합치면 총 120만원입니다.
쇼피 정산 수익 540만원에서 운영 비용 120만원을 빼면 420만원이 남습니다.
여기서 추가로 물품을 사입한 후 받게 되는 포인트 30만원과 영세율 적용으로 인한 부가세 환급 100만원을 더하면, 한 달 수입은 약 540만원이 됩니다.
결론적으로, 저처럼 자영업을 하다가 실패한 후 적당한 직장을 구하기 어려운 분들이 월 500만원 정도의 수입을 목표로 한다면, 쇼피는 충분히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자영업을 대표하는 치킨 프랜차이즈가 최소 5천만원의 투자비가 드는 것에 비해, 쇼피는 적은 비용으로도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또한 사무실 없이 집에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비용을 더욱 절약하여 이익률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.
물론 쇼피에도 단점이 있습니다.
초기에는 매출이 거의 없거나 한두 개에 그칠 수 있습니다.
또한 해외 통관 정책 때문에 잘 팔리던 상품이 갑자기 판매 금지되거나 특정 국가의 통관 자체가 중지되는 리스크도 존재합니다.
동남아시아의 독특한 결제 문화인 COD와 가품이 만연한 환경으로 인해 포장이 리뉴얼된 상품을 짝퉁으로 오해하여 환불 요청이 들어오는 등 어려움도 분명히 존재합니다.
하지만 단점과 어려움이 없는 일은 세상에 없습니다.
어려움을 극복한다면 동남아시아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, 쇼피 셀러로 시작한 후 또 다른 사업을 구상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.
이 글이 쇼피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.
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고, 구독 버튼을 눌러주십시오.
다음에는 제가 생각하는 마진 좋은 상품에 대해 소개하는 글로 찾아뵙겠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