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arch
logo

글로벌셀링

동남아 이커머스 시장 전망 살펴보기

  • 익명
  • 8달 전
  • 6.9k
  • 0
  • 4

2025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장 빠르게 GDP(Gross Domestic Product, 국내총생산량) 기대되는 국가(지역)으로

 

  • 1위 인도(6.1%)
  • 2위 중국(4.6%)
  • 3위 동남아시아(4.7%)
  • 4위 EU(1.7%)
  • 5위 USA(1.3%)

으로 소개*하고 있습니다.


또한, 동남아시아의 2023년 디지털 경제에 대해서

 

  • 동남아시아 인구의 70-80% 인터넷 사용자이며,
  • 그 중 50-60%는 인터넷 소비자(Internet Consumer)이며,
  • 디지털 경제 GMV는 2,180억 달러 (약 261조 원)
  • 디지털 경제의 수익은 1,000억 달러(약 120조 원)

 

으로 소개하고 있으며,

동남아시아의 2025년 미래 산업의 GMV(Goss Merchandise Value, 10억 단위)을

 

  • 1위 : E-Commerce 1860억 달러 (약 223조 원)
  • 2위 : 여행 430억 달러 (약 51조 원)
  • 3위 : Online Media 340억 달러 (약 40조)
  • 4위 : Food & Transport 310억 달러 (약 37조)

 

으로 전망했으며,

동남아시아의 최근 3년간(2021-2023) 전자상거래(E-commerce) 분야의 수익(Revenue)* 역시

 

  • 2021년 : 180억 달러 (약 21조 원)
  • 2022년 : 230억 달러 (약 27조 원)
  • 2023년 : 280억 달러 (약 33조 원)

 

으로 3년 간 27%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으며,

동남아시아에서 E-commerce 수요와 공급이 가장 활발한 도시*로

 

  • 베트남 – 하노이, 호치민
  • 태국 – 방콕
  • 필리핀 – 마닐라
  • 인도네시아 – 자카르타
  • 말레이시아 – 쿠알라룸푸르

 

등 5개국 6개 도시로 소개했습니다.

이처럼 동남아시아의 미래 산업 중 하나인 E-Commerce 시장의 트렌드는 어떻고, 각 국가별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실까요?

동남아시아 이커머스 플랫폼 TOP5

동남아 이커머스 핵심 플랫폼은 어디일까요?

2023년 동남아시아의 국가 별 상위 이커머스 플랫폼 트래픽 순위

 

  • 베트남 : Shopee(68%)>Lazada(18%)>Amazon(2%)>websosan(1%),Taobao(1%)
  • 태국: Shopee(47%)>Lazada(31%)>kaidee(3%)>Amazon(2%), ebay(2%)
  • 필리핀 : Shopee(46%)>Lazada(32%)>Amazon(8%)>Ebay(1%), Alibaba(1%)
  • 인도네시아 : Shopee(43%)>tokopeida(23%)>Lazada(13%)>blibli(6%)>bukalapak(3%)
  • 말레이시아 : Shopee(38%)>Lazada(11%)>Mudah(7%)>pgmall(4%)>Amazon(3%)


TMO Group(글로벌 전자상거래서 서비스 제공업체)에서 발간한 2023년 동남아시아의 국가 별 이커머스 플랫폼의 트래픽 조사 및 분석을 살펴보면, 부동의 1위는 #쇼피(Shopee) 였으며, 그 다음으로 #라자다(Lazada)에 대한 방문자 및 고객이 높은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.

이미 쇼피는 한국 마켓에 진출하여 인지도가 있는 편이고, 라자다 역시 동남아시아 시장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익히 알고 계실텐데요.

그렇다면, 동남아시아에는 다른 쇼핑몰은 무엇이 있고,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?


부동의 1위, #쇼피 #Shopee
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인도네시아, 베트남, 필리핀, 태국,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
  • 본사 : 싱가포르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4억 7천 만
  • 사이트 : shopee.com
  • 특징
    • 라자다 보다 후발 주자임에도 불구하고, 마켓의 선두를 차지
    • 판매자, 자체 공급, 물류 솔루션, 언어별 고객 서비스
    • 판매자와 구매다 모두 결제 보안 솔루션 “Shopee Guarantee”이용
    • 모바일 UX/UI 중점

 

동남아 이커머스 선발주자 2위, #라자다 #Lazada

 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필리핀, 태국, 인도네시아, 베트남, 말레이시아
  • 본사 : 싱가포르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9천 6백만
  • 사이트 : www.lazada.com
  • 특징
    •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선발주자
    • COD(Cash on Delivery, 착불 결제) 등 다양한 결제 서비스 제공
    • 2016년부터 중국의 Ailibaba의 투자를 받으면서 서비스 체계 전환

 

인도네시아 No.1 #토코피디아 #tokopida
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인도네시아
  • 본사 : 인도네시아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6천 800만
  • 사이트 : www.tokopedia.com
  • 특징
    • 인도네시아를 중점으로 사업 확대
    • 최근 수년 간 글로벌 VC의 FDI 유치 – Alibaba(중국) 및 SoftBank(일본) 등
    • BTS 등 해외 및 현지 팝스타 등 유명인사를 활용한 마케팅 캠페인이 유명 [참고 영상]

 

인도네시아 2위 #블리블리 #blibli

 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인도네시아
  • 본사 : 인도네시아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2,600만
  • 사이트 : www.blibli.com
  • 특징
    • 인도네시아 플랫폼으로 현지 인도네시아 브랜드를 강조
    • 빠른 배송(2일) 제공하며, 물류 서비스에 신경을 많이 씀
    • blibliPlay (주문형 스포츠 스트리밍, 비디오 스트리밍+전자상거래 통합) 서비스 제공

 

베트남 쇼핑몰 #바흐호악산 #Bachhoaxanh

 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베트남
  • 본사 : 베트남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2,100만
  • 사이트 : www.bachhoaxanh.com
  • 특징
    • 동남아시아의 온라인 쇼핑몰 규모에서 5위 정도 차지
    • 15,000개 이상의 다품목을 갖춘 식료품 식품 소매 체인
    • 빠른 배송(2시간 이내 배송) 및 무료배송(단 VND 300,000이상 시) 등 물류 서비스 제공
    • 골드 및 실버 등 멤버십 운영

 

싱가포르의 새로운 유니콘 #캘러샐 #Carousell

 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싱가포르, 필리핀, 미얀마, 인도네시아
  • 본사 : 싱가포르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1,500만
  • 사이트 : carousell.sg
  • 특징
    • 2012년 실리콘밸린 인턴쉽을 싱가포르 학생 3명이 창업
    • 약 500명 이상의 직원 보유
    • 전자 장비 전문 온라인 쇼핑물
    • 유니콘 기업으로 주목

 

2030 젊은 엄마를 공략하는 #오라미 #Orami

 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인도네시아
  • 본사 : 인도네시아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1,000만
  • 사이트 : www.orami.co.id
  • 특징
    • 주요 소비층 타켓 : 어린 자녀가 있는 2030 여성
    • 주요 타겟 제품군 : 유아용품 및 가정용품을 중점으로 한 제품 타겟

 

말레이시아 최초의 온라인 쇼핑몰 #PG Mall
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말레이시아
  • 본사 : 말레이시아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870만
  • 사이트 : www.pgmall.my
  • 특징
    • 2017년에 설립된 말레이시아 최초의 쇼핑 플랫폼
    • 과거에는 말레이시아 1위
    • PG Group(말레이시아 강소 그룹)의 지원을 받음

 

베트남 쇼핑몰 #초코닷컴 #Chotot.com
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베트남
  • 본사 : 베트남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720만
  • 사이트 : www.chotot.com
  • 특징
    • 2012년 베트남어 기반으로 설립된 온라인 쇼핑몰
    • 할인 상품 판매 중점
    • 60개 이상의 다양한 제품 카테고리 보유

 

베트남 현지마케팅 성공 #티키 #Tiki

 

  • 타겟 국가 : (동남아시아 內) 베트남
  • 본사 : 베트남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590만
  • 사이트 : www.tiki.vn
  • 특징
    • 2010년 베트남에서 설립한 온라인 쇼핑몰
    • (베트남 현지에서) 베트남 쇼핑몰로 브랜드 포지셔닝 성공
    • 2018년 까지 성공 가도를 달렸으나 2022년부터 영업이익 감소

 

글로벌 공룡  아마존닷컴 Amazon.com


  • 월 방문 수 (2023년 8월 기준) : (동남아시아에서) 2,500만명
  • 특징
    • 전체 트랙핑 중 동남아시아 트래픽 약 1% 발생
    • 싱가포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국가를 위한 전용 웹사이트 부재
      • 아시아 태평양 중 아마존 글로벌셀링 마켓 : #일본 #인도 #싱가포르 (총 3개국)
    • 동남아시아 고객들의 경우 구매대행(제 3자 배송 서비스)이 필요

#쇼피 #Shopee 동남아시아 1위의 이유

동남아시아의 이커머스 시장 또는 온라인 쇼핑몰 등 관련 자료를 찾다보면,

각 분석 기관마다 분석 결과(수치)는 상이하지만, 최근 3년 간 다음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.


바로 동남아시아의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1위는 쇼피(Shopee)라는 것입니다. Statista에서 발간한 2022년 쇼피의 주요 실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쇼피(Shopee)의 2022년 주요 실적 요약

 

  • 전년 대비 74.6억 달러의 매출 증가 (전년 대비 63%증가)
  • 총 상품 거래액은 735억 달러 도달
  • 총 3억 7500만 명의 사용자 보유
  • 그 중 가장 큰 시장은 인도네시아 (사용자 약 1억 30만 명)
  • 쇼피 어플 다운로드 횟수 : 2억 1500만 건

 

2022년 뿐만 아니라 최근 3년 간 쇼피와 관련된 실적 자료를 찾아보면

확실히 동남아시아에서 쇼피의 상승세를 확인해볼 수 있죠. 

앞서 소개 드린 것처럼 동남아시아의 쇼핑 플랫폼은 다양하고 많습니다.

최근 동남아시아의 각 국가의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 산업의 발전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죠.

그럼에도 불구하고, 쇼피(Shopee)가 동남아시아의 1위가 된 것일까요?

앞서 소개한 온라인 쇼핑몰들의 서비스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이유로 꼽아볼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.

#쇼피(Shopee)의 강점


-모바일 최적화 UX 및 UI

-각 현지 맞춤형 다국어 서비스 

-판매자를 위한 국가 및 언어 별 온라인 교육센터 운영

-라이브 커머스 및 숏폼



마무리하며



해외 진출 시,

 #언어의 현지화는 아주 중요한 요소 입니다. 특히, 선진국들의 인구 감소(특히 젊은 인구 감소) 등

사회적 이슈를 대응하기 위해, 해외 진출을 통한 마켓 확대는 아주 중요하고,

마찬가지로 #플랫폼 사용자 교육(온라인 쇼핑몰의 경우,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)이

#CX(고객 경험)  #고객(사용자) 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.


#동남아
  • 익명

    글로벌셀링

    #노하우

    동남아 시장 진출, 셀러 센터로 쉽게 시작하기!

    8달 전

    1754 조회

    #쇼피

    쇼피에서 월 5천만 원 매출을 올리는 비결 공개!

    8달 전

    2643 조회

    #노하우 #쇼피

    쇼피 셀러의 좌충우돌 성장기: 페널티와 함께 찾아온 깨달음

    8달 전

    1593 조회

    #쇼피

    쇼피 셀러로서의 여정: 8개월간의 경험과 수익 공개

    8달 전

    2208 조회

    #아마존

    아마존 글로벌 셀링,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 비결!

    8달 전

    1017 조회